코로나 지원금 신청 자격 및 방법 알아보기
요즘 코로나가 많이 약해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하루에 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예전에 비한다면 금액이 낮아지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코로나 지원금을 어느정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신청할 수 있는 자격과 어떻게 신청을 하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지원금이란?
말 그대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린 후 입원 혹은 자가 격리를 진행하신 분들에게 지원해주는 생활 지원금입니다.
참고로 이 지원금은 유급 휴가 비용을 받은 분들은 중복으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신청을 하시기 전에 이에 대해서 한번 확실하게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코로나 지원금은 정부24에서 직접 신청하여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전에 유급 휴가를 지급 받았거나 혹은 방역 수칙을 위반했거나 소득 기준을 초과한 사람들이라면 지급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지원금 신청 방법
코로나 지원금 신청 방법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우선적으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가능 여부를 먼저 조회를 하시고 그 다음에 가능하다면 신청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물론 온라인 이용이 어려우신 분들의 경우는 필요 서류들을 가지고 거주하고 계시는 지역의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도 가능하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격리 기간이 종료된 날의 다음날부터 90일 이내에만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간을 놓치기 전에 반드시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나 지원금 금액
대상자가 되어서 신청을 하게 된다면 지원금은 1인당 10만원이며, 2인 이상이면 15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금액이 큰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생활비 명목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청하시는 것이 좋으며 그 전에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로나 지원금 신청 조건
코로나 지원금은 소득에 따라서 신청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하단의 표를 참고하여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소득이 초과할 경우에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 자체가 불가합니다.
참고로 여기서의 건강보험료는 가구원 중에서도 보험을 가입한 자의 본인 부담금만을 합산합니다.
만약에 피부양자가 있다고 한다면 이는 제외하고 동거인 역시 포함이 아닌 별도로 따로 신청을 해야 합니다.
코로나 지원금 신청 시 필요 서류
신청 조건까지 모두 해당이 된다고 하면,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서 온라인으로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 생활지원비 신청서
- 격리대상자 본인의 통장 사본
- 신분증
- 예외 신청 사유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
- 소득기준 증빙서류(필요할 경우에만)
저 역시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때 신청이 가능한지 먼저 확인을하고 가능하다고 하길래 필요 서류를 준비해서 제출 했었습니다.
다만, 제 기억상 제출했던 서류는 신청서와 함께 회사에서 받은 무급휴가 확인서 같은 서류뿐이였습니다.
코로나 지원금 지급 일정
사실 지급 일정의 경우는 지자체별로 다 다른 것으로 확인됩니다.
제가 받았을 때는 신청을 하고 나서 주민센터에서 한번 연락이 왔었고 약 한달 정도 시간이 소요될거라 안내를 받았었습니다.
이게 필수적인 것은 아닌게 제출 서류 중 확인할 부분이 있어 먼저 연락이 오셨던 것이고 제가 연락 온 김에 문의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안내를 받은 후 정말 한달 딱 지나고나서 입금이 되었으니 안내 받은대로 지급 받기는 했습니다.
이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현재는 전보다는 확진자가 줄었기 때문에 코로나 지원금이 조금 더 빠르게 지급될 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환급 대상 조회 및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3.04.16 |
---|---|
부산 청년 디딤돌 카드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0) | 2023.04.15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및 방법 알아보기 (0) | 2023.04.13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기준 및 방법 (0) | 2023.04.05 |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및 신청 방법 체크하기 (0) | 2023.02.09 |
댓글